1. TCP/IP 개요
미 국방부에서 개발한 ARPA NET 사용 중 필요에 의해 TCP 개발
TCP가 너무 많은 짐을 지고 있어 1980년 TCP와 IP가 공식 표준으로 지정
2. TCP/IP 계층구조 및 계층관계
여러 가지 프로토콜 조합 의미
(그래도 TCP/IP가 젤 많이 사용)
OSI 계층 구조와 달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송, 응용 계층인 4계층으로 구성

1) 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 송수신 역할
2) 네트워크 계층
주소 관리, 포장, 라우팅 역할
IP : 호스트들과 네트워크에서 주소 관리, 패킷 라우팅
[IP 한계 보충]
ARP : IP는 아는데 MAC주소 모를 때 라우터에게 물어봄 (논리적 주소는 아는데 물리적 주소 모를 때)
ICMP : IP 연결 확인 위해 사용 (패킷 전송 관련 에러 메시지 처리)
3) 전송 계층
TCP
연결지향
데이터의 확실한 전송
UDP
비연결지향
실시간 빠르게 패킷 전달 (정확한 전달은 보장하지 않음)
4) 응용 계층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

3. 포트
포트 번호 : 특정 socket 구분하기 위한 것
16비트
0번에서 65535까지 65536개 포트 존재
0-1023번까지 Well Known Port : root 권한 필요한 포트 -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지 않음
4. IP
네트워크 계층
전송경로의 확립
네트워크 논리적 관리
모든 TCP/UDP, ICMP, IGMP데이터는 IP 데이터그램 사용해 전송
특징)
- 비신뢰성 : IP 데이터그램 목적지로 보내긴 하지만 도착하든 말든 신경쓰지 않음
- 비접속성 : 연결설정 없이 논리적 주소로만 패킷 전송해서 통신 +) 연결 통신은 TCP(유지)
- 주소 지정 : 중간에 다른 라우터들이 존재해도 최종 목적지인 IP주소 있기 때문에 물리 주소 바꾸면서 목적지 도달
- 경로 설정 : 라우팅 알고리즘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설정 (라우팅 테이블 구성)
5. IPv4 패킷 구성
- IP 헤더 구조

- IPv4 주소 체제
IP 주소 :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이 각각 가지는 고유한 주소
네트워크 식별자(NET ID) 필드와 호스트 식별지(HOST ID) 필드 두 부분으로 구성
각 필드에서 사용되는 비트 수에 따라 5개의 클래스(A, B, C, D, E)로 나눔

(A, B, C 클래스만 주로 사용)
- 패킷 전송방법
= 브로드캐스트 :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두에게 패킷 전송
= 멀티캐스트 : 하나 당 여러 개 중 선택한 일부(일부는 하나가 아닌 여러 개)에 패킷 전송
= 유니캐스트 : 하나 당 하나에 패킷 전송

- IPv4 주소 관리 방식
=서브네팅
IP 주소에서 어느 비트가 네트워크(이진수로 1)/호스트(이진수로 0) 부분인지 표현
기존의 클래스에서 디폴트 서브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
+) 인터넷 폭발적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문제들
✓ A, B 클래스의 네트워크 주소 공간 고갈
✓ C 클래스 주소가 할당되며 인터넷 라우팅 테이블 규모 증대
✓ IPv4 주소의 궁극적인 고갈
6. 부족한 IP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문제해결방법
- 슈퍼네팅
여러 개의 C클래스 주소 묶어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

- CIDR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이전으로 표현하여 기존의 네트워크를 다양하고 세부적으로 분할
장점 : IPv4의 주소 공간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인터넷 라이팅 테이블의 비대화를 줄임
- VLSM
서로 다른 크기의 서브넷을 지원
CIDR과 같이 IP 주소 공간의 일부 잘라서 사용 - 다른 점은 VLSM은 한 기관에 이미 할당된 주소 공간을 나눔

7. 사설 네트워크를 위한 주소 할당
IP 주소의 부족 현상으로 인해 NAT 기능의 제공이 필요해짐
공인 IP와 사설 IP로 구분 가능
NAT : 사설 IP할당 기술
8. IPv4 VS IPv6

<참고 및 보면 좋을 사이트들>
Ethernet, IP, TCP/UDP 헤더 소개
아래 그림은 Ethernet 헤더부터 IP 헤더, 그리고 TCP/UDP 헤더를 통해 패킷의 응용을 어떻게 구별하는지를 그 과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L2: Ethernet Header Ethernet 헤더는 Destination MAC Address(6B), Source MAC Addre
www.netmanias.com
www.www-kr.org/ws4/session/D12/
TCP/IP
----------------------------------------------------
www.www-kr.org
xn--3e0bx5euxnjje69i70af08bea817g.xn--3e0b707e/jsp/resources/ipv4Info.jsp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
도메인 소개, 등록 및 사용, IP주소, AS번호, DNS 정보, 관련규정 제공
xn--3e0bx5euxnjje69i70af08bea817g.xn--3e0b707e
medium.com/hd-pro/search?q=CIDR%20Addressing%20and%20Subnet%20Masking
Search – High-Definition Pro – Medium
Search writing on High-Definition Pro Multimedia, Imaging, Audio and Broadcast Technology.
medium.com
resources.intenseschool.com/ccna-prep-variable-length-subnet-masking-vlsm/
CCNA Prep: Variable Length Subnet Masking (VLSM) - Intense School
In my previous articles on Subnet Masks, I have given a detailed idea about Subnet Masking. All network engineers, from novices to experts, need to master IP addressing and subnet masks in order to perform their job. For the CCNA to CCIE examination, you n
resources.intenseschool.com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개념] SMB, DNS, ARP, ICMP (0) | 2021.01.27 |
---|---|
[Network 개념] 프로토콜? (HTTP, FTP, TELNET, SSL/TLS) (0) | 2021.01.20 |
[Network 개념] OSI 7 layer 참조 모델 (0) | 2021.01.19 |
[Network 개념] 네트워크란? (0) | 2021.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