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속의 빨간색이 이상해 보인다고 한다. 색깔과 관련된 문제 같다.
hidden 사진은 다음과 같은 평범한 사진이었다. 빨간색 꽃이 눈에 띄긴 하지만 플래그 값은 찾을 수 없다.
아마 사진 안에 키를 숨겨놓은 스테가노그래피 문제인 것 같다.
색깔과 관련해 코드를 짜서 해결할 수도 있지만 더 쉽게 문제를 풀기 위해 툴을 검색했다.
LSB(Least Significant Bit)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을 해결할 수 있는 툴인데,
https://incoherency.co.uk/image-steganography/#unhide
Image Steganography
Each channel (red, green, blue) of each pixel in an image is represented by an 8-bit value. To hide the secret image inside the cover image, we replace the n least significant bits of the cover pixel value with the same number of most significant bits from
incoherency.co.uk
hidden 이미지를 선택했더니
키 값이 바로 나올 수 있었다.
LSB 스테가노그래피는 이미지 공간에 변환을 주는 방법으로 이미지 내용 중 중요도가 가장 떨어지는 부분에 비밀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비밀 정보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고 커버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약 50%까지도 비밀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미지의 변환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저 툴에서 hidden bits의 슬라이드를 옮겨보면 이미지가 크게 변환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키 값은 Hidden bits 1에서 가장 잘 보였고,
성공 !
참고)
[ CTF-d ] Multimedia - 사진 속에서 빨간색이…
단순히 빨간색을 뽑아내면 되는것 같은 문제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import cv2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hoto = cv2.imread("hidden.png") RGB =..
blog.system32.kr
https://blog.naver.com/namuya11/40207109776
스테가노그래피 (Steganography)
개 요최근 '내일'이라는 소설을 읽던 중 스테가노그래피에 대한 내용을 또 다시 접하게 되었습니다.전에 91...
blog.naver.com
'Forensics > Warg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tf -d] Find Key(moon) (0) | 2020.08.16 |
---|---|
[ctf-d] Find Key(butterfly) (0) | 2020.08.10 |
[ctf-d] 우리는 이 파일에 플래그를 ... (0) | 2020.08.02 |
Suninatas Forensic 14 (0) | 2020.07.27 |
Suninatas Forensic 19 (0) | 2020.07.27 |
댓글